주식공부

불황 뚫고 전세계적 인기 K-푸드 관련주

우연히2025 2025. 5. 23. 15:54
반응형

 

몇년 전 전세계가 코로나19로 침체돼 아웃도어 활동이 줄어들자 K-Pop과 K-드라마 등 K-컬쳐가 더 큰 인기를 끌게 됐습니다. 이러한 한류열풍으로 K-Pop 가수가 좋아하는 불닭볶음면, 떡볶이 등에 관심이 쏠리고, K-드라마에 등장한 음식에 대한 호기심이 한국음식에 대한 더 큰 수요를 끌어내게 됐습니다.

이렇게 한국 음식료 산업은 'K-푸드'라는 이름으로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면서 관련 식음료 기업들의 주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K-푸드 주요 기업

삼양식품

불닭볶음면 챌린지로 시작된 글로벌 인기로 2025년 1분기 영업이익률이 20.7%에 달하며, 해외 매출 비중은 75%를 기록했습니다.
성공적인 SNS 마케팅 전략으로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의 수요가 증가해 실적도 크게 증가했습니다.

주가도 연초 대비 193% 상승했습니다.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4.9% 증가, 영업이익은 133.6% 증가, 당기순이익은 115.4% 증가했습니다. 

 

CJ제일제당

미국에서 비비고 만두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쌀가공, 냉동, 육가공 식품 등 주력 제품도 성장세입니다.

만두, 치킨, 간편밥, K-소스 등 다양한 브랜드와 제품으로  미국, 중국, 일본, 베트남, 유럽 등 해외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 증가, 영업이익은 20.2% 증가, 당기순이익은 61.6% 감소했습니다. 


농심

해외 매출이 국내 판매량을 뛰어넘은 신라면을 앞세워 신라면 더 레드, 신라면 툼바, 짜파게티 더 블랙 등 신제품으로 해외 시장에서 성과가 나고 있습니다.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8% 증가, 영업이익은 23.1% 감소, 당기순이익은 8.5% 감소했습니다. 

 

오뚜기

오뚜기는 다른 기업처럼 이름이 알려진 제품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해외매출이 최근 몇년간 총매출의 10% 내외로 꾸준히 유지되고 있습니다.

오뚜기는 현재 65개국에 진출해 있으며, 중국, 미국, 베트남, 뉴질랜드에 해외 법인을 설립해 현지화와 마케팅에 유리합니다.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 증가, 영업이익은 12.9% 감소, 당기순이익은 14.7% 감소했습니다. 

 

오리온

오리온의 대표상품 초코파이는 전세계 60개국에서 연간 25억개가 팔립니다. 최근에는 비쵸비와 꼬북칩, 마켓오 브라우니 등이 해외에서 큰 인기를 끌고있습니다.
해외 매출 비중이 65%에 달하며, 중국, 베트남, 러시아 시장에서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6% 증가, 영업이익은 10.4% 증가, 당기순이익은 39.3% 증가했습니다. 


빙그레

바나나맛 우유의 해외 인기로 이익이 증가하자 주가도 상승했습니다.
중국, 미국, 베트남 등 해외 시장에 메인 수출제품의 시장 정착으로 요플레, 투게더, 따옴 등 다른 제품까지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9% 증가, 영업이익은 17% 증가, 당기순이익은 19.7% 증가했습니다. 


CJ씨푸드

건강 트렌드에 부합한 김의 해외 수요 증가와 마른김 도매가격 상승이 주가 상승에 기여했습니다.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0.6% 증가, 영업이익은 5.3% 증가, 당기순이익은 13.2% 증가했습니다. 


사조대림

미국에 수출한 냉동김밥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8.1% 증가, 영업이익은 3.4% 증가, 당기순이익은 0.5% 증가했습니다. 

 

식음료 산업의 미래와 전망

K-푸드의 지속적인 인기로 인해 관련 기업들의 성장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해외 시장에서의 수요 증가와 함께 건강 지향 제품 개발, 디지털 마케팅 강화, 생산 및 물류 인프라 투자 등이 식음료 산업의 미래를 밝게 하고 있습니다.

1. 글로벌 수출 확대

K-푸드의 세계적 인기와 함께 식품 관련 기업들의 해외 매출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유럽, 동남아 시장에서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2. 건강 지향 제품 개발

맞벌이와 독신세대 증가로 간편식 수요가 늘어나고 건강 지향 소비 트렌드에 맞춘 기능성 제품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3. 디지털 마케팅 강화

SNS와 유튜브 등을 활용한 디지털 마케팅이 브랜드 인지도 향상에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4. 생산 및 물류 인프라 투자

기업들은 생산 능력 확대와 물류 효율성 향상을 위해 통합센터 구축 등 인프라 투자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식음료 산업 투자 주의점

1. 원재료 가격 변동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밀가루 수급이 어려워지자 세계 밀 가격이 급상승했던 것처럼 밀, 설탕, 팜유 등 원재료의 가격이 상승하면 수익성이 감소할 우려가 있습니다.

2. 환율 리스크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은 원화가 강세일 때 실적에 악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 글로벌 경쟁 심화

세계 시장에서 일본, 중국, 동남아 식품 기업과 경쟁이 더 심화됐습니다. 글로벌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현지화 전략이 중요해진 이유입니다.

3. 트렌드에 민감

불닭볶음면처럼 단일 제품에 수익 의존도가 높은 기업은 트렌드가 바뀌었을 때 변화에 취약합니다.

4. 국가별 규제

스웨덴에서 불닭볶음면의 맵기에 대해 규제했던 것처럼 위생이나 재료, 라벨링 등 국가별 수입식품 관련 규제가 강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5. 테마주에 대한 투자 과열

K-푸드 테마가 이슈화되면서 단기 급등한 종목은 공매도 등 조정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기업분석 출처: FnGuide

*이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는 본인의 판단과 책임입니다.

반응형